티스토리 뷰
ㅍ
백신을 맞아야 할 때가 왔습니다. 보건당국은 지난달 20일 2회 접종 대상자를 시작으로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접종에 돌입했습니다. 5일부터는 1회 접종 대상자와 임신부도 독감 백신을 맞을 수 있습니다. 폐렴구균 감염으로 균혈증, 뇌수막염까지 진행되면 치명률은 60~80%까지 증가합니다. 백신 꼭 맞으세요. 특히 65세 이상은 필수입니다.
폐렴에는 백신
● 이와 더불어 보건당국과 전문가들은 폐렴구균 백신도 함께 접종할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어르신 폐렴구균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을 4일부터 적극 홍보하고 나섰고, 전문가들도 독감 백신을 맞을 때 폐렴구균 백신도 함께 맞는 것이 좋다고 적극 권고하고 있습니다. '죽음을 부르는 저승사자'인 폐렴을 막을 방법은 여전히 백신뿐이라는 설명입니다.
폐렴
●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균, 기생충, 리켓치아 등 외부 미생물이나 화학물질, 음식물, 이물질 흡인에 의해 폐에 염증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기침, 객담, 객혈, 흉통,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이나 발열, 전신 염증 반응, 모든 장기의 잠재적인 이상 등이 발생해 생활의 질이 떨어지거나 심지어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질환입니다.
● 문제는 폐렴의 원인균이 35~50% 정도만 밝혀졌다는 데 있습니다. 그중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폐렴구균으로 원인균이 규명된 폐렴의 26.8%를 차지합니다. 지역사회 폐렴으로 입원하는 환자의 약 10% 정도는 중환자실에서 집중 치료가 필요한데, 이들 환자의 약 3분의 1이 폐렴구균이 원인이 돼 입원하게 됩니다.
● 특히 나이가 많거나, 심장 신장 간 만성질환, 알코올중독, 악성종양, 의식저하 등이 있으면 폐렴의 예후는 상당히 나빠집니다.
●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폐렴으로 인해 사망한 한국인의 수는 인구 10만 명 당 52.1명으로 암(162.7명), 심장질환(65.8명), 코로나19(61명)에 이어 4위를 기록했습니다. 여전히 바이러스성 폐렴에 확실한 치료효과가 있는 약제가 아직 없고 흡족한 진단 기술 또한 없기 때문입니다.
폐렴백신으로 예방
● 다행인 건 폐렴구균으로 인한 폐렴은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독감과 폐렴은 겨울철부터 초봄까지 비슷한 시기에 유행하는데 두 질환 모두 고령자, 만성질환자 등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에게서 중증감염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독감으로 인해 폐렴뿐 아니라 세균성 폐렴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독감 예방 접종을 할 때 폐렴구균 예방 접종을 동시에 하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만성폐질환 진단을 받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예방접종을 한 사람과 하지 않은 사람을 비교한 결과, 독감과 폐렴구균 백신을 동시에 접종했을 때가 그렇지 않았을 때에 비해 폐렴구균 폐렴으로 인한 입원율과 사망률이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독감과 폐렴은 백신 접종으로 상당한 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 영유아나 65세 이상 노인, 면역력이 저하돼 있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예방 접종을 해야 합니다.
● 폐렴구균 백신은 언제든지 접종할 수 있다. 다만 독감 백신을 접종하는 매년 10~11월 고위험 환자에게 폐렴구균 백신도 함께 맞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반드시 백신권유대상
● 2세 이하의 영유아와 65세 이상의 고령층, 50세 이상의 성인 중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접종을 하는 게 좋습니다.
● 65세 이상 고령층은 폐렴구균 백신을 한 번 맞았다면 재접종을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처음 예방접종 후 5년이 지났거나 65세 미만에 접종했다면 재접종을 해야 합니다.
● 18세부터 64세에서는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같은 호흡기질환, 심장혈관질환, 당뇨, 간질환, 간경화, 알코올중독, 신장질환, 신증후군, 인공와우이식, 두개골 골절 등으로 인한 뇌척수액 누출 등이 있는 경우에 폐렴구균 백신을 맞아야 합니다.
● 면역이 심하게 저하되어 있거나 만성신부전이나 신증후군의 경우에는 두 번 접종을 받는 게 좋습니다.
질병청 관계자는 "독감, 폐렴구균, 코로나19 백신을 동시에 투여했을 때 면역 간섭과 안전성의 우려가 없다는 것이 확인돼 접종 간격에 제한을 두지 않고 함께 접종해도 된다"면서 "아직 폐렴구균 백신을 맞지 않은 65세 이상 고령층이라면 가까운 지정 의료 기관이나 보건소에서 무료로 접종할 수 있으니 참여를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다음은 많은 분들이 추천한 글모음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