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중소기업에 직장을 다니는 평범한 직장인에게 정부가 지원하는 8가지 정부지원제도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정부에서 지원되는 다양한 복지가 주로 출산관련정책이나 저소득층, 노년층에 집중되어 있다고 느끼시는 많기에, 오늘은 직장인들의 복지제도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각종 지원금, 금융관련 정책과 주거관련 정책, 복지제도 등 유용한 정보들이 많이 있습니다. 혹시 모르고 계셨던 복지제도가 있다면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정부에서는 빈부격차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세금혜택 등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근로장려금'입니다. 모든 근로자들에게서 걷은 근로소득세를 저소득 근로자들에게 '근로장려금'과 '자녀 장려금'으로 돌려주는 제도로써, 근로장려금을 받는 분들은 국민용돈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2. 소득세 감면제도
2022년도 까지는 150만원까지 감면받았는데, 2023년부터 5년동안은 200만원까지 늘어 났습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임금격차를 줄이기 위해, 중소 기업에 취업한 사람들에게 소득세를 감면해 주고 있습니다.
● 만 15세 ~ 34세 청년, 군필자는 36세까지 적용됩니다.
●60세 이상, 장애인, 경력단절된 여성이 일정한 요건을 갖춘 중소기업에 취업할 경우 적용됩니다. 소득세 감면기간은 최대 5년 감면율은 90%입니다. 60세 이상인 분들과 장애인, 경력단절여성은 3년이 적용되고 감면율은 70%입니다.
주의사항 → 이러한 세금감면혜택은 자동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복지제도들 처럼 본인이 자격이 되는 지 확인하시고 반드시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신청방법: 홈택스에서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신청서'를 다운로드 받으셔서 신청하셔야 합니다.
혹시 과거에 이 제도를 몰라서 혜택을 못 받았던 분들은 '경정청구"라고 홈택스에서 신청하시면 소급해서 환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
3. 근로자 휴양콘도 사업
과거에는 일정 소득이하의 근로자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특수형태 근로종사자를 포함해서 대기업 직원까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한다면,소득무관하게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변경되었습니다.
근로복지공단에서 운영하는 사업으로 전국의 51개 휴양콘도를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 이용신청
1. 근로복지네(welfare.comwel.or.kr[바로가기])에 공동인증서 로그인
2. 상단의 서비스신청 휴양콘도 휴양코도 신청 메뉴클릭
3. (공단)근로자 고용정보의 임금 및 기업규모확인 확인문자전송
- 주말 : 이용일 전월 10일까지
- 평일 : 이용일 7일전까지
- 성수기 : 별도공지
▶ 이용우선순위
- 이용가능 점수가 높은 근로자
- 주말/성수기 선정박수가 적은 근로자
- 나이 많은 근로자
▶ 이용자 선정
- 주말 : 이용일 전얼 15일(휴일인 경우 전날)
;- 평일 : 신청후 7일 이내(초대 이용날 전날)
&
월평균 소득이 적거나, 기업규모가 작으면, 더 높은 점수를 받아서 유리하고합니다.
나이가 많은 근로자에게 우선순위가 있거나,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은 가정이 있습니다.
주말이나, 성수기가 아니라면 예약은 어렵지 않고, 평일 예약시에는 점수가 차감되지 않기 때문에, 비수기 평일에 휴가를 잘 이용하신다면, 저렴한 법인가로 고급 리조트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 근로자 휴가지원 사업
본인이 20만원, 기업에서 10만원, 정부에서 10만원을 지원해서 총 40만원의 휴가비를 마련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중소기업과 중견기업, 소상공인, 사회복지법인 및 시설, 비영리 민간단체까지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휴가샵"이라는 쇼핑몰 홈페이지에서 숙박시설 부터 교통편을 비롯해서, 공연티켓이나 레져용품까지 다양한 상품을 구입해서 여행 할 수 있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20만원받는 근로자 휴가제도"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5. 중소기업 복지 플랫폼
일부 대기업의 복지혜택을 똑같이 받을 수 있는 중소기업 복지 플랫폼입니다. 이전에는 회사차원에서 이용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직장인들이 개인적으로 가입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전체대비 중소기업비율은 99%이고,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83%로 약 1,700만명이 넘지만, 아직 중소기업 복지플랫품에 가입자는 27만명 정도 밖에 안됩니다.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삼성이나 LG같은 복지혜택을 똑같이 받을 수 있습니다.
별도의 가입비와 이용료가 없이, 무료로 대기업 수준의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세부상품수가 180만개가 넘습니다. "중소기업 복지 플랫폼" 검색하셔서, 홈페이지 한번 둘러 보시기 바랍니다.
6. 대출관련제도
중소기업 취업청년들에게, 전월세 보증금을 '1억원'까지 대출해 주는 '중소기업청년 전월세 보증금대출 '이 있습니다.
● 외벌이는 연소득 3천 5백만원 이하,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이하이면서, 순자산 가액이 3억 6100만원이하의 무주택 세대주로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청년에 해당합니다.
● 연령은 만 19세에서 만 34세까지(군 복무기간에 따랄 만 39세까지도 가능함)
대출은 최대 1억원 이내로 2년씩 4회 연장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최장 10년동안 이용이 가능합니다.
- 신청 : 주택임대차 계약을 하고 5%의 계약금을 낸뒤에 3개월 이내에 '기금 e든든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시거나, 우리은행, 신한은행, 국민은행, 농협은행, 기업은행에서 방문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이와 유사하게, 전세자금만 가능한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청년전용 보증부월세대출" 모두 비슷한 조건하에 1% 저금리로 대출가능하니까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7. 주거지원제도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 연소득 3천만원 이하의 청년들이 가입하면, 청약 기능과 소득공제 혜택과 함께 10년동안 최고 연 3.3%의 금리와 이자 비과세 혜액을 받습니다.
8 중소기업근로자 특별공급제도
청년뿐아니라, 중소기업 장기근속한 근로자들을 위한 제도로, 중소기업에 총 5년이상 제직하거나 동일 기업에 3년이상 재직중인 무주택 세대구성원을 대상으로, 특별주택 물량을 따로 확보해서 우선 공급하는 제도입니다. 근속년수가 길수록 가점이 불어나고, 기술사나 기능장 자격증을 소유하거나 뿌리기업 종사자 들은 추가 가점이 있습니다.
▶ 이용신청:
● 중기업인력지원사원 종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에서 전국의 특별공급확인을 따로 확인하시고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관할 지방 중소벤처기업청에 방문 또는 우편신청
7. 저축내용
● 청년 내일 채움공제 :
중소기업에 처음 취업한 청년들이 대상, 청년근로자와 기업, 정부가 공동으로 적금을 적립해서 2년 후 청년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
●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 공제 :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정책으로, 청년이 5년간 720만원을 적립하면, 기업이 1200만원, 정부가 1080만월을 적립해서, 3,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하는 제도
● 청년 구직자 내일채움 공제플러스
3년간 쳥년과 기업, 정부가 각각 600만원씩 적립해서 1,800만원의 만기금을 받게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신청은"내일체움공제 홈페이지"에서 기업명의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8. 중장년 새출발 카운슬링
만 45세이사 중장년 회사원만 대상으로 하며, 1,000명 미만 기업에 재직 중이거나 특수형태 근로종사자라면, 재산/소득상관없이 1인당 100만원을 지원하는 중장년 새출발 카운슬링제도입니다.
중장기적인 경력설계 상담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내일배움카드를 신청하여 이 카드를 할용하시면 100만원을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중소기업 재직자 분들의 복지혜택에 관련된 것에 관해 잠시 알아 보았습니다. 혜택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몰라서 신청못하신 분들 지금이라도 늦니 않으니 좋은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
-- By 머니웰컴 (다양한 복지정보를 가지고 올테니 다음이나 네이버에서 머니웰컴를 검색해 주세요)
다음은 많은 분들이 추천한 글모음입니다.
중소기업복지혜택8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