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반응형

식권사용
식권

[  1000원의 학식  ]

 

1000원으로 아침밥을 싸게 먹을 수 있는 것도 좋지만 청년이 스스로 빈곤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찾아주는 사업이 더 많아져야 합니다. 봉사활동단체 '십시일밥'을 통해 1000원의 학식을 제공받아 대학생활을 하고 있는 청년층이 많습니다. 

[ 십시일밥  ]

십시일밥은 각 학교 식권지원 메일을 통해 상시 식권지원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 십시일밥에서는 식권지원시청에 앞서 개인정보를 철저하게 보호합니다. 식권지원자의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사무국원도 1명, 해당 학교에서 식권 지원을 담당하는 운영진도 딱 1명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1. 식권지원대상자 선발 기준

  1) 재학생/휴학생/졸업예정자/졸업자(1년 미만의 미취업자)

  2) 기초수급가구 혹은 차상위계층/한국장학재단 소득분위 0~3 분위(6개월 이내)/식권이 필요한 사유서

  3) 십시일밥은 각 학교마다 자율적으로 운영됩니다. 각 학교의 사정에 따라 지원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식권지원 방법안내

   1) 게시판을 통해 '식권 지원대상자 신청서_십밥대_홍길동, 개인정보동의서_십밥대_홍길동' 2개의 파일을 받아 작성한 뒤 각 학교 신청 메일로 보내 주시면 됩니다.

● 식권지원대상자 신청서 다운로드 및 작성

   -- 인적 정보를 입력하신 후, 재학증명서 및 기타 신청 서류는 스캔본이나 사진으로 첨부하시면 됩니다.

  개인정보 동의서 다운로드 및 작성

   -- 꼭 자세히 읽어 보신 후, 프린트하여 직접 서명해 주세요.

   -- 작성 완료한 동의서는 사진 혹은 스캔본으로 저장하시면 됩니다.


[ 참여 학생 ]

참여학생들은 공강시간에 학생식당에서 봉사활동을 하고, 그 대가로 시급이 아닌 식권을 받아 취약계층 학생들에게 전달합니다. 

십시일밥의 의미 : 십시일밥이라는 이름은 '10명이 한 숟가랃씩 덜어내면 1명이 먹을 분량이 된다'는 '십시일반'에서 따왔습니다. 지금은 직장인인 된 A 씨는 '생활비가 부족해 아르바이트를 하느라 학업을 뒤로 미루기 일쑤였는데 그나마 십시일밥 덕분에 식비를 충당할 수 있어 다행이었다'라고 회고했습니다.

▶ 십시일밥사업에 참여하는 학생은 일주일에 1차례 씩 공강시간을 이용해 교내식당이 가장 바쁜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 사이에 봉사활동을 합니다. 주로 배식과 설거지, 테이블 정리, 식권판매 등을 돕고 이들의 봉사활동은 취약계층 학생들에게 식권으로 전달되는 형태입니다.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면서 스스로 십시일밥 활동도 같이 했다는 B 씨는 '무조건적인 현금지원보다는 스스로 활동적인 일을 하도록 돕는 것이 청년의 성장에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며 '나도 친구들을 돕고 싶다'는 마음에 시작한 활동이 자소서를 쓸 때 스펙이 되더라고 언급했습니다.

[ 십시일밥 현황 ]

십시일밥에 따르면, 십시일밥은 올해 상반기 13개 대학에서 약 2000만 원 상당의 식권을 빈곤학우들에게 전달하였습니다. 사업을 시작한 2014년부터 전달된 누적 식권은 11만 8000장으로, 40개 대학 4000명의 취약계층 대학생에게 전달한 바 있습니다.

▶십시일밥 사업 : '청년이 청년 스스로를 돕는다'라는 생각을 퍼뜨리기 위해 생리대 등 생필품 지원사업 확대에도 나섰습니다. 또 올해 하반기에 신규 대학을 모집해 사업을 확장하고 더 많은 취약계층 대학생을 지원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전해집니다.

▶ 십시일밥은 '소득에 상관없이 모든 청년이 자유롭게 미래를 그릴 수 있는 세상을 꿈꾸고 있다'며 이런 세상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청년의 어려움을 듣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뛰고 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 서울시 역시 '십시일밥'과 같이 청년이 청년 스스로를 돕는 정책 찾기에 나섰습니다. 서울시는 '서울시 청년공론장에서 알게 된 십시일밥의 활동에 큰 감명을 받았다'며 '십시일밥과 같이 수혜적 복지가 아닌 청년 스스로 복지를 챙길 수 있는 사업에 관심을 두고 발굴에 나섰다'라고 언급하였습니다.


 

 

 

 

반응형
카카오톡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