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매년 꾸준히 내는 국민연금을 받게 될 시점에 과연 나는 얼마 정도를 받을 까? 한 번쯤은 궁금해 보셨죠
오늘은 국민연금예상 금액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살펴볼께요
국민연금은 만 18세 이상부터 만 60세까지 납부의무가 있으며, 국민연금 수령은 만 65세부터입니다. 수령나이에 도달하였을 때 납부금액과 가입기간에 따라 연금을 수령하게 됩니다.
1. 예상연금 모의계산
다음은 예상연금 모의계산하는 표입니다. 천천히 보시고 난 다음 모의계산하러 갈게요!!
표를 다 보셨으면 이제 모의계산하러 가볼까요?
조회해 보셨나요 위사이트는 중앙노후준비센터에서 지원하는 계산법입니다.
다음은 국민연금관리공단에서 할 수 있는 예상수령액조회입니다.
조회하기를 클릭하신 후 우측에 예상연금 간단 계산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또는 국민연금 간단 조회 바로가기하셔도 빠릅니다.
국민연금 수급개시 연령
국민연금은 출생연도에 따라서 수급개시연령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출생연도가 52년 이전이라면 60세부터 수령할 수 있고, 53년 ~ 56년생이라면 61세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1953~56년생 | 61세 | 56세 | 61세 |
1957~60년생 | 62세 | 57세 | 62세 |
1961~64년생 | 63세 | 58세 | 63세 |
1965~68년생 | 64세 | 59세 | 64세 |
1969년생 이후 | 65세 | 60세 |
현재 국민연금은 60세까지 가입하고 65세부터 수령이 가능합니다.
이에 소득공백으로 인해, 또는 의료보험 피부양자 탈락방지용으로 국민연금을 조기수령하는 풍토가 조성중입니다.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신가요? 과연 국민연금을 조기수령하는 것이 유리할까요? 조기수령하면 매년 감액율이 적용되어 원래 받아야 할 금액보다 낮은 금액을 수령합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조기수령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 이유는 뭘까요 다음에서 해답을 찾아보도록 하죠
조기수령 장단점 조기수령 이해득실따지기 코너로 여러분들을 모실까 합니다.
어떤 점이 유리한 지 잘 판단하셨나요
그럼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다음은 많은 저의 구독자님들이 함께한 글모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