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반응형

평생을 공무원으로 일하신 분이나 교직원 분

넉넉한 직역연금 으로 노후를 보내시나요?

 

하지만 공무원 연금이나 사학연금을 받는 분이

일정금액이상의 소득이 생기면 연금이 깎인다는 것 아시나요?

 

 

 

공무원 연금 소득있으면 감액 기준월소득금액은

 

 

 

공무원연금 감액기준

 

공무원 연금 등을 수령하시는 분들이

★ 사업소득 + 근로소득 > 전년도 평균연금월액 을 초과하면 연금이 감액됩니다

이렇게 되면 연금을 최대 절반까지 감액될 수도 있습니다.

사립학교 교직원 연금법은 공무원 연금법과 동일합니다.

따라서 상기 사항은 퇴직한 교직원에게도 적용됩니다.

 

 

● 공무원 연금은 연금개시후

근로 또는 사업소득금액이 있으면 연금의 일부를 감액할 수 있습니다.

그 기준은 전년도 평균연금월액입니다.

 

● 전년도 평균연금월액은 2023년 기준으로 264만원입니다.

● 월평균 소득금액 > 264만원 이면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은 감액됩니다.

 

※ 국민연금도 마찬가지로 월소득금액이 298만 9천원초과하면 감액됩니다.

하지만 국민연금은 최대 5년 까지만 감면합니다.

 

♪ 그러나 공무원연금은 소득이 사라지지 않는 한 평생 감액됩니다. ㅜ ㅜ

포함되는 소득

 

근로소득, 사업소득, 임대소득이 포함됩니다.

 

★적용배제 소득 : 이자 소득, 배당소득 은 소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근로를 하지 않는 불로소득과 같은 소득에는 소득에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즉 노후에도 열심히 일하면 공무원연금과 사학연금은 감액되지만

이자 배당 소득을 받는 분들은 한푼도 감액되지 않습니다.

 

 

소득이 있으면 얼마나 감액될까요

 

 

초과 소득월액별 연금 일부정지 금액

 

 

전년도 평균 연금월액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 감액합니다.

● 연금월액 초과분이 50만원 미만이면 초과 소득월액의 30%를 감액합니다.

 

● 연금월액 초과분이 50만원 이상 ~ 100만원 미만이면 :

  15만원 + [ 50만원 초과 소득월액의 40% ] 를  감액하게 됩니다.

                                                 :

                                                 :

● 연금월액 초과분이 200만원 이상 이면 :

 90만원 + [ 200만원 초과 소득월액의 70% ] 를  감액하게 됩니다.

 

∴ 결론은 최소 30% 최대 70% 감액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국민연금 감액과 공무원연금 감액 비교

 

 

 

 

국민연금 받는 분이 5만원 감액될 때 공무원연금은 35만원 감액됩니다.

국민연금 받는 분이 50만원 감액 될때 공무원 연금은 230만원 감액됩니다.

이거 너무 충격적인 차이입니다.

공무원연금의 배신!!! 인가요?

 

공무원 연금받는 분들의 소득활동을 왜 못하게 하는 걸까요?

국가에서는 고령층을 고용하면 이에 대한 고용지원금을 주는데 

왜 공무원 퇴직자분들은 일하면 불이익을 주는지 !!!

 

년말에 공격준비 세금폭탄

 

● 공무원연금만 받으면 공무원연금에 대한 세금만 내면 됩니다.

●  하지만 공무원연금은 종합과세입니다.

▶ 추가적인 근로소득, 사업소득도 종합과세 대상입니다.

 

≫ 소득이 늘어나면 늘어날 수록 종합합산되는 누진세

 

  • 공무원 연금만 있으면 적은 세율을 적용받지만
  • 추가적인 소득으로 인해 종합합산과세하는 순간
  • 추가적인 소득 + 공무원 연금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누진세 이니까

 

 

 

예시 

 

 월 3백연금으로 받는 분이 추가소득이 있으면

   연금이 월 150으로  줄수도 있다는 사실 유념해 주세요

 

 

 

 

 

 

노후에 일하면 공적연금을 감액시키는 이제도

 

 

 

 

 

퇴직연금 또는 조기퇴직연금의 지급정지

 

 

퇴직연금 또는 조기퇴직연금의 수급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재직기간 중 해당 연금 전부의 지급을 정지한다. 소득세법에 따른 근로소득금액의 월평균금액(이하 “근로소득월액”이라 한다)

 

이 본인의 퇴직연금액 또는 조기퇴직연금액 미만인 경우에는 그 근로소득월액만큼 해당 연금 일부의 지급을 정지하고, 제3호부터 제5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근로소득월액이 전년도 공무원 전체의 기준소득월액 평균액의 160퍼센트 미만인 경우에는 제3항에 따라 해당 연금 일부의 지급을 정지한다.

 

일부발췌

③ 퇴직연금 또는 조기퇴직연금 수급자가 연금 외의 「소득세법」 제19조제2항에 따른 사업소득금액 또는 같은 법 제20조제2항에 따른 근로소득금액이 있고, 각 소득금액 또는 이를 합산한 소득금액의 월평균금액(이하 “소득월액”이라 한다)

 

이 전년도 평균연금월액(퇴직연금액과 퇴직유족연금액을 합한 금액을 해당 수급자 수로 나눈 금액을 말한다)을 초과한 경우에는 퇴직연금 또는 조기퇴직연금에서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금액의 지급을 정지한다. 이 경우 지급정지액은 퇴직연금 또는 조기퇴직연금의 2분의 1을 초과할 수 없다.

 

1. 전년도 평균연금월액을 초과한 소득월액(이하 “초과소득월액”이라 한다)이 50만원 미만인 경우: 50만원 미만 초과소득월액의 30퍼센트

2. 초과소득월액이 5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인 경우: 15만원 + 50만원 초과소득월액의 40퍼센트

3. 초과소득월액이 100만원 이상 150만원 미만인 경우: 35만원 + 100만원 초과소득월액의 50퍼센트

4. 초과소득월액이 15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인 경우: 60만원 + 150만원 초과소득월액의 60퍼센트

5. 초과소득월액이 200만원 이상인 경우: 90만원 + 200만원 초과소득월액의 70퍼센트

④ 제3항에 따른 소득월액 및 평균연금월액의 산정과 지급정지 방법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공무원 연금법 50조 3항

 

 

 

 

 

 

 


감사합니다.

 

 

 

 

 

 

 

 

 

 

 

 

 

 

 

 

 

 

 

 

 

 

 

 

 

 

 

 

 

 

 

 

 

 

 

 

 

 

공무원 연금 소득있으면 감액 기준월소득금액은

 

공무원 연금 소득있으면 감액 기준월소득금액은

 

 

공무원 연금 소득있으면 감액 기준월소득금액은

 

반응형
카카오톡 공유